-
강북구 꿈나무키움 장학재단, 장학증서 수여식 개최
편집국 편집장
2025-03-05
-
도봉구 ‘초등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 폭발적 인기
편집국 편집장
2025-03-05
-
도봉구, ‘초등학생 자기주도 학습 캠프’ 운영
편집국 편집장
2025-03-05
-
“UN의 17개 약속 지속가능발전목표 전환점 되는 해”
편집국 편집장
2025-03-05
-
성북강북교육지원청, 수업 역량 강화 장학 브로셔 발간
편집국 편집장
2025-03-05
-
“아로마테라피부터 신바람댄스까지 직접 선택하세요”
편집국 편집장
2025-02-26
-
도봉구, 새 학기 맞아 학생 대상 환경교육프로그램 운영
편집국 편집장
2025-02-26
-
도봉구, 초등생 위한 무료 온라인 학습 플랫폼 출시
편집국 편집장
2025-02-26
-
“미래세대 주역 아동·청소년이 살기 좋은 도봉구”
편집국 편집장
2025-02-26
-
오언석 도봉구청장, 신한대 신입생 대상 특별 강연
편집국 편집장
2025-02-26
-
“어린이들도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어요”
편집국 편집장
2025-02-26
-
‘얘들아 과일 먹자’ 취약계층 아동 건강에 큰 효과
서울시의 ‘얘들아 과일 먹자’ 사업이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큰 효과를 보이며 학부모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최근 과일·채소 가격이 급등하면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진 가운데, 이 사업은 학부모의 부담을 덜어주면서 아이들의 식습관 개선에도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2013년부터 민관협력으로 추진 중인 이 사업은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월 1회 영양교육과 주 2회 과채류를 제공한다. 지난해 서울시는 243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에게 사과, 토마토 등 제철 과채류를 60회 공급했다.사업 결과, 참여 아동의 매일 과일 섭취율은 24.2%에서 29.2%로, 매일 채소 섭취율은 34.3%에서 37.6%로 증가했다. 반면, 주 1회 이상 단맛 음료 섭취율은 69.5%에서 66.2%로, 패스트푸드 섭취율은 61.1%에서 60.6%로 감소했다.영양교육 효과도 뚜렷했다. 영양표시 인지율은 59.6%에서 74.9%로, 가공식품 구매 시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활용률은 30.6%에서 40.5%로 증가했다.학부모들의 반응도 매우 긍정적이다. 참여 아동 학부모의 78%가 자녀의 식생활과 영양 지식이 향상된 것을 체감했고, 93%는 사업에 ‘(매우)만족한다’고 답했다. 특히 사업 필요성에 대해서는 96%가 ‘(매우)그렇다’로 답해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앞으로 ‘얘들아 과일 먹자’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더 많은 아동이 건강한 식습관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3월에 2025년 사업 참여기관을 모집할 예정이다.
편집국 편집장
2025-02-26
-
“영어 원어민과 화상으로 대화해보세요!”
편집국 편집장
2025-02-19
-
강북구, 중·고등학생 대상 인터넷 수능방송 수강료 지원
강북구(구청장 이순희)가 사교육비 부담을 덜고 지역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관내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에게 양질의 강의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수능방송 수강료를 지원한다. 강북구는 2010년부터 강남구와 인터넷 수능방송 공동이용 협약을 체결해 운영 중이다. 올해는 500명의 학생이 혜택을 받을 예정이다. ‘강남인강’으로 알려진 이 서비스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유명 자사고 출신 강사, EBS 강사, 현직 교사, 대치동 학원 강사 등의 1,318개 수능 및 내신 대비 강좌를 무제한 제공하고 있다.수강료 지원은 연회비 5만원에서 협약기관 10% 할인을 적용한 4만5000원 중 강북구가 2만5000원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학생들은 2만원만 부담하면 된다.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가족 및 유족, 한부모가족 아동, 등록된 장애인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는 무료로 수강할 수 있어 교육 기회의 형평성을 높였다.신청 대상은 강북구 거주자나 강북구 소재 학교 재학생으로, 예비 중·고등학생부터 현재 중·고등학교 1~3학년 학생까지다. 일반 학생은 강북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사회적 배려 대상자는 거주지 동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수강권은 매월 두 차례에 걸쳐 발송되며, 상시 신청이 가능하다.이순희 강북구청장은 “강북구 학생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이번 사업이 교육 격차 해소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편집국 편집장
2025-02-19
-
‘도봉형 진로교육’, 청소년 진로탐색 지원성과 ‘엄지척’
편집국 편집장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