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평택촌놈의 종목분석] 크린앤사이언스
북한이라는 지정학적 이슈로 최근 국내 증시의 변동성이 증가했다. 다행스럽게도 지난 주말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실패로 돌아가고 미국도 눈에 보이는 대응을 하지 않아서 우선 한숨 돌릴 수 있게 되었다. 걱정했던 환율조작국도 미지정 되면서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반등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현물 투자자라면 삼성전자의 추세와 외...
2017-04-24 편집국
-
규제개혁을 통한 정부3.0의 실현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93년이 흘렀다. 그 이후로부터 대한민국은 눈부신 경제성장을 거듭하였고, 행정국가로도 점점 발전하면서 행정조직이 확대되는 한편 그 행정조직의 유지와 사회적 기반의 운영을 위한 법령 등 행정규제들도 함께 제정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 이르러 국민들의 행정적 수요가 복잡?다양해지면...
2017-04-24 편집국
-
첫 민관협치 도봉구를 주목하자
도봉구(구청장 이동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민관이 함께 구정을 의논하고 방향을 잡아가는 협치(協治)에 나선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앞으로 풀뿌리민주주의가 어떤 방식으로 진행돼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그렇다. 이제는 관 주도의 전시행정과 같은 예산낭비 요소가 사라지고 진정으로 구민들이 요구하는 사...
2017-04-17 편집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기억하자
다가오는 4월 13일은 1919년 4월 13일에 3·1운동 정신을 계승해 일제에 빼앗긴 국권을 되찾고, 나라의 자주독립을 이루고자 중국 상하이에서 수립 선포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역사적 의의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제정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많은 사람들이 4월 13일이 무슨 날인지 잘 모르고 있다...
2017-04-17 편집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생각하며
오는 4월 13일은 일제의 만행으로부터 우리의 주권을 되찾고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해에 수립된 날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였다. 또한 1919년 국내·외에서 거국적으로 확산된 3·1운동의 자주독립정신과 동학농민운동의 시민혁민정신, 독립협회의 자주정신을 수렴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
2017-04-17 편집국
-
4.13 임정수립기념일에 효창공원역에 가보자
오는 4월 13일은 제98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기념일이다.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상하이에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5년 8·15광복까지 27년간 정부조직을 유지하며 지속적인 독립운동을 펼쳤다. 이는 식민지 역사를 가지고 있는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일이라고 한다.
국가보훈처는 이를 기리기 위해 매년 4월 13일...
2017-04-17 편집국
-
[평택촌놈의 종목분석] 변수로 움직인 주식 시장, 비중을 줄일 시점
최근 서울경제TV 방송에서 매일 오전 9시 40분, 오후 6시 30분 두 차례에 걸쳐 시황과 종목에 대한 생각을 전달하고 있다. 지난 수요일 저녁 방송을 시청했던 독자가 있다면 필자가‘알려지지 않은 돌발변수’란 표현을 쓴 것을 기억할 것이다. 잠시 수요일 시장을 복기하면, 오후 12시를 전후로 갑자기 코스피, 삼성전자, 선물 등에서 외국인과 ...
2017-04-17 편집국
-
범죄 피해! 각종 제도로 방지합시다
날로 심각해지는 범죄로 인하여 심적, 육체적, 경제적으로 곤란한 지경에 처한 사람들이 상당히 많으나 실질적으로 치료, 회복되는 경우는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범죄 피해자들도 어떻게 범죄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는지 제대로 알지 못하며 당국의 홍보 또한 부족하여 범죄로부터 2차, 3차 피해를 받고 있는 실정입니다.
범...
2017-04-17 편집국
-
피해자보호 전담경찰관이 범죄피해자 지원제도 알려드립니다!!
경찰에서는 범죄피해자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범죄피해자에 대한 지원 제도 중 이번 기고에서는 범죄피해자에게 지급되는 여비지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피해자 진술서를 작성할 때면 ‘제가 피해자인데 이렇게 제 시간을 투자해 경찰관서를 왔다 갔다 하고 불편을 겪어야 합니까.’ 라는 말을 듣는 경우가 있다.
...
2017-04-17 편집국
-
피해자보호 전담경찰관이 범죄피해자 지원제도 알려드립니다!! 제 3회 : 강력범죄 현장정리 지원제도
경찰에서는 범죄피해자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범죄피해자에 대한 지원 제도 중 이번 기고에서는 강력범죄 현장정리 지원 제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정보통신의 발전과 인프라 확대로 현대사회는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새로이 등장한 직업이 하나 있다. 바로 ‘특수청소업’이다. 고독사, 자살, 강...
2017-04-10 편집국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