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
-
도봉구, 비상용 생리대 무료지급기 확대 비치
도봉구(구청장 이동진)가 주민들의 호응이 좋은 ‘비상용 생리대 무료지급기’를 동주민센터와 복지관, 도서관 등 공공기관에 확대 설치했다.
도봉구는 2018년 9월 전국 최초로 창동역 동측 공중화장실에 ‘비상용생리대 무료지급기’를 설치한바 있다.
주민들의 좋은 반응에 여성친화도시를 지향하는 도봉구는 2019년 △공중화장실 ...
2020-05-26 편집국
-
학교 환경 개선에 청소년이 참여한다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구와 지역 주민이 협력해 교육 환경을 변화시키는 공교육혁신사업에 청소년을 참여시킨다.
이는 현재 노원 혁신교육지구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 분과 위원회’가 실무자 중심이어서 당사자인 청소년의 의견을 직접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청소년 분과위원회 참여 대상은 만 13세에서 24...
2020-05-19 편집국
-
노원구, 불량 노후 간판 교체비 지원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도시미관 향상을 위해 불량 노후 간판 교체비를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간판 설치 규정에 맞지 않는 3층 이하 건물벽면에 설치된 불량 노후 간판으로 1업소 1간판 당 최대 120만원을 지원한다. 총 사업금액은 2400만원이며 예산 소진 시까지 지원한다. 단, 신규 업소와 간판개선 사업 구역 내에서 간판을 교체한 ...
2020-05-19 편집국
-
‘나의 생각! 노원에서 먹힐까’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대학생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구정에 접목코자 ‘대학생 아이디어 공모전’을 연다.
공모전은 ‘나의 생각~! 노원에서 먹힐까’라는 주제로 힐링도시, 문화도시, 건강복지도시, 교육도시, 교통도시, 미래도시 등 6개 제안 분야로 구분해 모집한다.
공모자격은 지역 내 소재 대학교 및 대학원 재학생(...
2020-05-19 편집국
-
노원구, 놀이터 모래소독 연2회 이상 확대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어린이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놀이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어린이 놀이터의 ‘모래 소독’을 실시한다.
2억 72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놀이터 모래 소독은 ▲어린이 및 근린공원 103개소 ▲공동주택 221개소 ▲어린이집 및 유치원 41개소 ▲초등학교 39개소 등 총 404개 놀이터로 총 면적 7만453㎡에 이른다.
현...
2020-05-19 편집국
-
성북구,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개시
성북구(구청장 이승로)는 4일 성북구에 주소를 둔 기초수급대상자 등 사회취약계층 2만여 가구 지원을 시작으로 긴급재난지원금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정부의 2차 추가경정예산이 지난달 30일 확정됨에 따라 지난 4일부터 재난지원금 우선 지급대상자인 사회취약계층 가구에 예외적으로 현금 지급이 시작됐다. 이로 인해 각 지자체...
2020-05-19 편집국
-
성북구, 아동친화환경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수상
성북구(구청장 이승로)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한 어린이날 기념 유공자 포상에서 아동친화환경 활성화 유공기관으로 선정되며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보건복지부는 제98회 어린이날을 맞아 전국 지방자치단체 243개를 대상으로 아동의 보호, 안전, 권리 등 복지증진에 기여한 유공자를 발굴·포상했다. 이번 행사는 아동이 권리의 ...
2020-05-19 편집국
-
성북구, 도로명주소 문자알림 서비스 시행
성북구(구청장 이승로)는 이달부터 주소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로명주소 문자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 관계자에 따르면 2014년 도로명주소 전면사용 이후 높은 주민 인지도를 보이고 있으나, 건물의 철거 및 신축과정에서 건물번호 부여, 재개발 등 도시계획사업으로 인한 인근 주택지역의 도로명 변경으로 의해 우편, 택배의...
2020-05-19 편집국
-
성북구, 소규모 시설 실내공기 컨설팅 제공
성북구(구청장 이승로)는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법의 사각지대에 있는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을 집중 관리하기 위해 실내공기관리 컨설팅을 실시한다.
현행법 상 일정규모이상 대규모 다중이용시설만 법적 테두리 내에 관리가 돼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노약자들은 오염된 실내공기에 그...
2020-05-19 편집국
-
비닐·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제 Q&A
1. 왜 비닐과 투명 페트병만 별도로 배출해야 하나?
⇒ 비닐의 경우 택배·배달 문화 발달 등으로 가장 많이 배출되지만 재활용률이 가장 낮다. 또, 음식물 등의 오염물질이 묻은 채로 배출되는 경우가 많아 타 재활용품의 재활용률까지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이며, 커피 믹스 같은 작은 비닐류의 경우 혼합되어 있을 경우 선별이 어...
2020-05-13 편집국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