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 mink1895@naver.com
- 부의장이 됐는데
다 지역주민 덕분이다. 지역주민이 7대 지방의회에 구의원으로 선출해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부족하지만 의회와 집행부 그리고 주민과의 가교역할을 하는데 충실하겠다.
- 3선의 부의장은 의미가 남다를 것 같다.
경험이나 선수가 최우선은 아니지만 초선, 재선그리고 3선은 분명히 다르다. 재선때까진 몰랐던 부분이 더 보이기 시작한다. 시야가 넓어지고 세련되지는 것은 맞다. 이전에 했던 구정질문 등의 과거와 같은 상황이 지금 온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세련되게 전달하면서 지역주민의 염원들을 이룰 수 있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이 든다. 의장을 도와 후반기 의회를 잘 이끌어 나가겠다.
- 앞으로의 각오는?
우선 이근옥 의장을 비롯한 의장단과 함께 의장을 보필해 나가겠다. 부의장은 상징적인 자리이기도 하다. 화합을 통해 집행부와 타협의 역할을 잘해나가겠다. 아울러 집행부와의 관계는 잘못된 것은 시정을 요구하고 도봉구민의 이익을 우선할 것이다. 누가봐도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해 나갈 것이다.
- 의용소방대 등의 외부활동도 많은데?
부의장이 됐다고 해서 지역내 활동하던 단체를 소홀히 할 수 없다. 의회에서는 의원신분에 최선을 다하고 외부활동에도 시간을 더 쪼개서 유지해 나갈 것이다.
- 시간도 시간이지만 체력이 문제가 되지 않겠나?
아침에 일어나서 우이천을 따라 5km정도 조깅을 하고 있다. 적으면 5일 많으면 6일 정도 뛴다. 의정활동을 함에 있어서 체력을 기본적으로 뒷받침 되야 된다고 생각한다.
- 지역과 중앙정치에서의 차이점은
우선 의원은 구, 시, 국회 이건 간에 서로간의 등위는 없다. 각자의 위치에서 역할을 다할 뿐이다. 그렇지만 주민의 접근성은 아무래도 구의원이 더 높다. 그러다 보니 지역과 중앙을 잇는 역할을 많이 한다. 오해 하고 있는 사실에 대해서는 알 수 있도록 주민에게 설명하는 등 이른 바 완충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큰 틀에서 봐야 한다.
- 후반기 원구성이 일부 잡음은 있었지만 타구에 비해서 매끄러웠다.
당과 당이 서로 협의한 내용이다. 지금 상황에서 더민주에서 의장선거에 나선다면 당선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서로의 합의사항을 어기는 짓을 하는 것은 양X치나 하는 짓이다. 우선 정당정치는 주민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들도 주민 대표이고 민의를 대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 존중해야 된다.
- 부의장으로 7대 후반기에 이루고 싶은 것이 있다면?
의장을 포함해 의장단이 불협화음이 나지 않도록 노력하고 서로 우애 좋은 의회를 만들어 나갈 것이며 집행부의 관계도 개선 해 나갈 것이다. 주민을 우선하는 7대 의회로 기억할 수 있도록 상생과 경쟁 그리고 칭찬 등의 지켜야할 가치를 지켜나가겠다.
- 주민에게 하고 싶은 말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3선 의원을 만들어준 주민에게 감사하며 그랬기 때문에 부의장에도 도전할 수 있었다. 주민의 뜻을 섬기고 작은 목소리에도 귀기울이겠다. 신뢰를 우선하면서 욕심부리지 않고 갈등보다 화합을 우선해 의장을 도와 7대 의회를 이끌어 나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