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bukbu3000@naver.com

지역일꾼이 될 후보만 선택해 세대교체해야
2주 앞으로 다가온 6.13 지방선거를 맞아 동북4구에서 각 정당의 후보자들에 대한 공천이 대체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이번 지방선거는 북핵문제와 한미정상회담 등의 굵직한 이슈가 겹쳐 지역현안이 부각되지 않는 가운데 치러지는 깜깜이 선거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그런 와중에 각 후보들은 지역에서 어떤 자세로 일하겠다는 각오를 유권자들에게 보이기보다 당선을 최우선시하면서 공천을 받기 위해 여기저기 정당을 기웃거리는 모습만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도봉갑지역의 자유한국당 구의원 후보는 공천에서 탈락하자 민주당으로 가서 공천을 받았다. 또 앞서 새누리당일 때 공천을 받았던 한 구의원 후보는 자유한국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이번에는 바른미래당으로 옮겨 뛰고 있다. 또 다른 후보는 민주당 소속이었다가 무소속이 된 후 다시 새누리당과 자유한국당으로 당적을 옮겨 선거에 나서기도 했다.
강북지역도 마찬가지다. 자유한국당을 탈당해서 바른미래당으로 옮겨가거나, 민주당에서 공천을 못받자 무소속으로 나서는 구의원이나 시의원이 부지기수다. 중앙정치가 아니라 지역에서 일할 사람을 뽑는 선거인데, 어느 당 소속이면 무슨 상관이냐는 말이 나올 지경이다. 그러다보니 전체 후보 180명 가운데 세금도 제대로 내지 않은 후보들이 난무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 5년간 체납한 사실이 있는 후보가 26명이나 되고, 그중 3명은 아직도 세금을 다 안낸 사실이 드러났다. 그야말로 정당들이 유권자를 무시하고 ‘아무나’ 공천한 것이다.
이는 바로 기초자치단체에서까지 정당공천을 행사하는 법제도 때문이다. 일할 능력이 없는 사람도 이래서 정당에 굽신거려 공천을 받고 나면 지역 현안은 뒷전이고 주민과 지역 공무원들에게 호통이나 치고 자기 배나 불리는 정책을 추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철새같은 정치인들에 대한 염증을 도지게 만든 것이 이번 도봉, 강북 지역 공천 파문이다. 현명한 유권자들은 이런 상황을 가만히 두고 봐서는 안된다. 이런 정치놀음에 빠져 있는 무늬만 지역일꾼인 정치철새들을 퇴출시키기 위해서도 이번에는 유권자들이 표로 엄중한 심판을 내려줘야 한다. 그래야 정당들도 지역 민심과 동떨어진 공천을 했을 때 어떤 후폭풍이 몰려오는지를 똑똑히 보게 해야 한다.
과거에도 이런 일이 반복되면서 앞에서만 일하는 척하고 뒤에서는 이권개입이나하고 인사개입에 가담하는 지역 정치인들이 왕왕 발생했었다. 그러므로 이번 선거에서는 지방의회에 입성만 하면 실력도 없으면서 지역에서 30년이상 근무하며 누구보다 현안을 꿰뚫고 있는 공직자들한테 갑질이나 하는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유권자들이 감시의 눈을 매섭게 떠야 한다. 이렇게 해야만이 낙후된 강북4구라는 표현을 사라지게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