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사설] 6.13 지방선거, 주민 축제되게 하자 표만 얻으려는 엉터리 후보 심판해야 2018-04-04
편집국 bukbu3000@naver.com

 

장용석 편집인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예비후보자들이 등록을 하고 각종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기초의원과 광역의원은 물론 기초단체장 후보로 나선 후보자들은 서로 유권자들의 표를 겨냥한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벌써부터 일부 후보자들은 공약인지 아닌지조차 분간이 안되는 이야기들을 남발하고 있다. 오랜 공직생활을 했다는 한 후보자는 서울시와 구청에 있는 자신의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것은 한마디로 당선되면 ‘인맥’에 의존해 각종 행정을 펴겠다는 말이나 다름없다. 그럼 인사에도 자신에게 도움을 준 인맥이 천거하는 사람을 눈감을 수 없게 되고, 그런 인맥의 입맛에 맞는 정책을 펴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것은 구민들의 입장에서 볼 때 그야말로 권위주의 시절 관이 이래라 저래라 하던 과거로 돌아가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런 걸 공약이라고 내놓는 수준의 후보자가 있다니 한심할 따름이다.


다른 후보자들이 발표하고 있는 공약들도 아직은 개괄적인 내용들이어서 세부사항은 확인할 수 없지만 유권자의 수준을 한참 낮춰보는 것들이 상당히 많다. 후보자들이 낸 공약중에는 ‘행복도시’ ‘혁신복지’과 같은, 개념도 모호하고 실천가능성도 불투명한 것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어떻게 하면 행복한 도시이고, 어떻게 하면 현재의 복지와 다른 혁신복지가 가능한 것인가? 이런 뜬구름 잡는 식의 공약을 남발하는 후보자들은 그들 스스로도 알지 못하는 이야기로 유권자들을 현혹시키려는 것으로 봐야 한다. 이런 엉터리 후보자들은 당연히 이번 선거에서 낙선시켜 유권자들이 얼마나 현명한 존재인지를 알려야 한다. 이제 본격적인 선거철로 접어들면 선심성 공약을 내세우는 후보자들이 유권자들의 눈을 가리려 들 것이므로 이들을 가려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이번 선거는 여러 당이 난립한 가운데 치러지기 때문에 자칫 정쟁의 도구로 활용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선거가 정치인들을 위한 축제가 아니라 주민들을 위한 축제가 되도록 주민 스스로 나서서 감시하고 한 표를 행사하는 자세로 임해야겠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