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사설] 창동역 노점상 양성화추진, 도봉구청 제 정신인가 내년 선거 표얻으려고 꼼수 쓰다가 역풍 맞을 것 2017-09-11
편집국 bukbu3000@naver.com

 

장용석 편집인

창동역 2번 출구앞 노점상 환경개선사업을 통해 사실상 양성화하기로 한 도봉구청의 조치는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다. 그 앞을 다녀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입을 모아 주민 불편 야기하는 노점상을 철거해달라고 하는데, 오직 이동진 구청장만 이 소리를 듣지 못하는 모양이다.


그곳이 얼마나 문제인지 현장에 가보면 금세 알 수 있다. 창동역 앞에는 두 개의 유턴 차선이 있다. 앞쪽 유턴차선은 택시승객들이 이용하기도 하면서 인도가 좁아져 사람이 다니기 어려울 정도다. 여기에 노점상까지 도로를 반쯤 점령한데다 보도까지 가설물을 설치해 일대의 혼잡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게다가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악취와 지저분함은 이루 말할 수조차 없다.


그런데 구청측은 ‘상생’만 입버릇처럼 얘기하고 있다. 상생할 대상인지 아닌지도 판단하지 않고 말이다. 이곳 노점상들이 기업형인지, 생계형인지를 구분하지도 않은 채 일대에 상하수도 시설과 화장실 등을 지어주면 결국 노점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보다 임시미봉식으로 덮어두려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불편을 겪어본 주민들이 이번 대책을 ‘노점상 지원책’이라고 폄하하는 이유이다.


게다가 노점상측은 마차 형태의 노점박스를 똑같이 만들어 영업을 하겠다면서 이걸 두고 구청측에 협조하는 것처럼 말하고 있다. 이는 미관상 개선은 이뤄내도 이를 통해 일대의 혼잡도가 개선될 여지는 전혀 없어 결국 문제의 본질을 흐리는 방편이다.


만약 현재의 자리에 박스형 노점상을 그대로 둔다면 앞으로 민자역사가 완공된 후 이를 처리할 방법이 없어진다. 유동인구가 늘어난 그 곳에서 노점상들이 이번처럼 또 떼를 쓰듯 버티면 표를 의식한 구청측이 강제단속을 할 리가 없기 때문이다.


대안은 당장 노점상을 전면철거하지 말고 생계형에 한해 노점상의 위치를 바로 옆 주차장 코너로 옮기는 것이다. 주차장 땅은 서울시 소유인 만큼 서울시로부터 대지사용 승락만 받으면 통행불편없고, 노점상도 영업을 이어갈 수 있어 누이좋고 매부좋은 모양새가 된다. 도봉구청은 근시안적으로 대처하지 말고 좀 더 멀리 내다보기 바란다. 눈앞의 표만 생각하니 이런 어처구니없는 방안이 나온 것이다. 이런데 예산을 쓰라고 낸 세금이 아닌데, 구민들이 표로 심판할 수 도 있다는 생각은 왜 못하는지 궁금할 따름이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