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bukbu3000@naver.com
지난 6월말 강북구청의 노점상 단속과정에서 박단순씨가 사망한 사고가 발생한지 한 달이 훨씬 넘어가는데도 강북구의회로 인해 문제가 사그라들지 않는 양상이다. 문제의 원인은 박문수 구의회 의장이 제공했다. 노점상 문제 대책을 요구하는 시위대를 향해 “단속 용역예산을 인상하겠다”고 말한 것이 발단이었다. 이 문제로 1인시위가 이어지고 급기야 14일에는 박문수 구의장 규탄 기자회견까지 열렸다.
회견장에서는 사망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떠나 문제가 원만하게 해결되도록 노력해야 할 구의회 의장이 오히려 단속을 위한 용역예산을 더 늘리겠다고 발언함으로써 시위대를 자극한 것은 사태를 더 악화시키는 오만한 발언이었다는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이런 구의회 의장의 모습은 비판을 무시하고 주민들을 우롱하는 행태로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앞서 작년 8월 후반기 구의회 의장으로 선출된 박문수 구의장은 당시 기자회견에서 “모든 문을 열어놓고 구민들의 목소리를 듣겠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런데 불과 1년도 지나지 않아 180도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구민들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심판하겠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노점상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도 아니고 당장 해결될 일도 아니다. 그런 사안에 대해 근본적 처방을 내놓지는 못할망정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대상자들에게 말한 것은 오만불손한 태도라고 비판받아도 마땅하다. 구의장 자격으로 노점상 문제에 대해 근본적 처방을 내놓을 능력이 있는지도 의문이지만, 처방은 못내놓으면서 말로 자극만 한다면 그것은 인성(人性)이 의심을 받을 일이다. 이유야 어떻든 사람이 단속과정에서 사망했는데, 시위대를 향해 거꾸로 단속용역비를 올리겠다고 감정섞인 발언을 내뱉는 것이 과연 온당한가 묻지 않을 수 없다. 당장 바로 옆의 도봉구가 창동역 주변 노점상과 상생 협약을 통해 거리 정비에 나서는 것을 보고도 배우는게 없나.
설령 시위대가 찾아와 안전에 위협을 느꼈다 하더라도 그들이 폭도도 아닌 마당에 그들을 만나주지 않을 이유도 없다. 더군다나 구민들의 민생을 살펴야 할 의회 의장이라면 더욱 만나야 했다. 구의회 의장직은 그러라고 있는 게 아닌가.
강북구의회는 불통행보를 멈추고 구민들로부터 신뢰받는 구의회가 되기를 바란다. 구청이 구민들 위에 군림하는 것을 막으라고 구민 대표를 뽑아 구성한 구의회가 이래서는 안된다. 그 대표격인 구의회 의장이라면 더욱 그렇다. 박문수 의장은 발언에 대한 사과부터 하고 초심으로 돌아와 구민들 마음부터 사라.
장용석 편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