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bukbu3000@naver.com

제19대 대통령선거가 하루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대통령선거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사태로 인해 예정보다 7개월 일찍 치러진다는 점에서 되새겨 봐야 할 점이 많다.
가장 먼저 이렇게 조기 대선이 열리게 된 원인인 탄핵사태의 파장을 생각해봐야 한다. 최측근 최순실씨가 국정까지 개입하는 바람에 대통령직 파면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이한 것은 국민들로서는 수치스런 일이다. 국민 다수의 득표로 당선돼 놓고도, 대통령이 비선을 운용함으로써 국민들의 의도와 전혀 다른 방향으로 국정이 흘러가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다시는 국민이 찍은 대통령이 국민을 배신하는 행위를 하지 못하게 감시와 견제가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이번 새 대통령은 국민 모두를 만족시키지는 못할지라도 전반적인 합의아래 국정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비선을 운용하는 순간, 측근에 휘말려 대통령의 생각과 행동은 국민들과 동떨어지게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두 번째로는 현재 장기간의 국정공백으로 인해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어 이도저도 못하는 한심한 나라꼴을 하루빨리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외교란 타협의 묘를 살리는 예술의 경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강대국 틈에 끼어 수천년을 버텨온 우리나라로서는 실리와 명분을 모두 살리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지상과제다. 여기서 빠뜨리지 말아야 할 것은 북한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입장이다. 북한이 ‘자위수단’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핵탄두를 개발하고 있는 마당에, ‘우리는 한민족’이라는 혈연에 얽매이는 식의 안일한 생각으로는 결코 현재의 난제를 타개할 수 없다. 전쟁은 전쟁을 준비할 때만이 피할 수 있다는 격언을 두고두고 곱씹어 볼 때이다.
세 번째로는 추락하고 있는 국가경제를 일으켜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달러강세에다 산업환경 변화로 인해 국내 내수시장이 무너지고, 조선업을 포함한 여러 업종이 붕괴지경에 있는 것을 대선 후보 모두가 모르지 않을 것이다. 나랏님도 가난은 못막는다는 것은 옛말이고, 오늘날의 대통령은 그것까지도 챙겨야 한다. 경제를 추스르지 못해 다시 우리 경제가 나락으로 떨어진다면 역시 무능한 대통령으로 낙인찍힐 것이다.
이러한 세가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앞으로의 대통령은 과거의 제왕적 대통령이어서는 안된다. 봉건시대의 임금이나 왕도 아니면서 모든 권력을 혼자서 독차지 하는 식의 권력운용은 시대착오적인 것이다. 최근 정치권에서 나오는 협치(協治) 개념이 신선하게 들리는 것은 그래서일 것이다. 국민들은 이처럼 절체절명의 시기에 행사하는 한 표가 가진 진중한 무게와 의미를 생각해 투표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