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도봉구의회, 구정질문으로 올 상반기 도봉구정 되돌아봐 지역구 구민 의견도 제시하며 다양한 행정 정책도 제안해 2024-07-02
편집국 bukbu3000@naver.com

도봉구의회가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등으로 분주했던 1차 정례회 일정을 마무리하며 구정질문을 갖고 2024년 상반기 도봉구정을 집중 조명했다. 


9명의 의원들은 도봉구 전체 행정은 물론 지역구 주민들의 관심 사항에 대해 집행부의 자세한 답변을 요구했다. 집행부에서는 오언석 도봉구청장과 해당 부서국장들이 답변에 나섰다. 각 의원별 질문 요지를 정리했다. 


◆ 고금숙 의원, 생존수영 교육 지원 및 공영주차장 확대 촉구

고금숙 의원은 도봉구민의 행복한 삶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초등학교 생존수영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코로나19로 생존수영 수업이 이론수업만 진행되다 2022년 수영장 교육이 재개됐지만 수영장 부족으로 실제 수업 시간이 부족한 상황을 지적하며, 구에서 관리하는 수영장에서 초등학생 생존수영 교육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또, 저층 주거지역의 주차 공간 부족 문제를 지적하고 쌍문2, 4동 정의여고 주변의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해 쌍문근린공원 일대에 공영주차장 및 산책로 조성을 제안했다.  


▲ 고금숙 도봉구의원

◆ 이호석 의원, 창동역 서측 공영주차장 개발 및 다양한 지역 활성화 방안 제안

이호석 의원은 창동역 서측 공영주차장 및 NH 농협 부지의 복합 개발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민 편의성 증대를 제안했다. 도심 복합개발 특례법 제정 및 TF 구성을 요청하며, 민자역사와 GTX-C 연결을 통해 교통 편의성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강조했다. 또, 서울 아레나의 비수기 운영 방안으로 스포츠 경기장 활용 및 e스포츠 산업 확대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민 휴식 공간 확대를 위해 노원구와 협력해 도봉구 주민의 초안산 캠핑장 이용 우대 방안을 검토하고, 중랑천과 우이천 등에 휴식 공간을 조성하며 청년 창업 지원을 주문했다.


쌍리단길 활성화 방안으로 모두온 운영 시간을 저녁까지 연장하고, 안전 및 시설 관리를 위해 인력 배치를 검토하며, 쓰레기 처리 방안을 개선하고 경관 시설을 확대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 이호석 도봉구의원

 

◆ 정승구 의원, 덕릉로59길 교차로 보행 환경개선 및 창2동 교통사고 예방 대책 제안

정승구 의원은 덕릉로59길 교차로에서 보행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를 지적하며, 횡단보도는 있지만 보행 신호가 없어 사고 위험이 크다고 강조하며 보행 환경 개선을 요청했다. 창2동 우영마트 주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주차단속보조원 어르신 채용을 주문하며, 이는 어르신 일자리 창출과 주차 질서 확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관내 하천 산책로 안내 표지판과 진입로 열선 설치를 제안했다. 창2동 신창시장 활성화를 위해 주차장 확대를 촉구하며, 주말 특정 시간대에 인근 자투리땅을 활용한 한시적 주차 허용을 주문했다.


▲ 정승구 도봉구의원

◆ 이성민 의원, 도봉구 교육 및 지역 개발 현안과 구청의 정책 개선 촉구

이성민 의원은 도봉초등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개축 사업과 도봉고등학교 폐교 부지 활용에 대한 도봉구청의 관심 부족을 지적하며, 정책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신도봉시장 활성화를 위해 주차장 확충을 요청하고, 향후 신도봉시장 등 전통시장의 공영주차장 확충 계획에 대해 질문했다. 또, 도봉동 화학부대 부지에 국기원 이전 추진 현황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질문하며, 구청의 상세한 추진 일정과 향후 계획 제시를 요구했다.


중랑천 도봉구 수변활력거점조성 사업에 주차 공간 조성을 포함시킬 것을 요청하고, 도봉1동 김근태 도서관 주변 어르신들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를 제안했다. 도봉산 입구 시계탑 만남의 광장에 화장실 재설치를 요청하며, 중랑천 황톳길 및 황토족탕 관련 민원 해결 방안을 제안했다. 도봉서원의 신속한 복원 대책과 일정 준수를 촉구했다.


▲ 이성민 도봉구의원

◆ 홍은정 의원, 주민자치회 활성화 및 도봉문화재단 예산 편성 문제 지적

홍은정 의원은 도봉구 주민자치회의 활동 축소를 지적하며, 주민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적극적인 운영지원 방안을 제안했다. 또, 도봉문화재단의 예산 편성 문제와 잉여금 이월 문제를 지적하며 합리적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도봉환경교육센터의 장소 이전 추진 문제와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명확한 설명과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봉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상담실 공간 부족 문제를 언급하며, 청소년 접근성이 용이한 상담실 마련과 시설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홍은정 도봉구의원



◆ 강철웅 의원, 청년 구정 체험단 자격 확대 및 주민 복지 개선 촉구

강철웅 의원은 청년 구정 체험단 자격 제한을 대학생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인권 침해라고 지적하며, 자격을 청년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 있는지 궁금해 했다. 또, 구민회관 및 체육시설 비용 문제에서 감면 혜택이 강사비 감소로 이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 수강료 기준으로 강사비를 지급하고 부족분을 공공기관 또는 구가 부담할 계획이 있는지 물었다. 경로당 어르신 복지에 대해서는 경제적 어려움 기준을 낮추고 무료 급식 대상을 확대하며, 유료 급식을 일부 지원할 것을 제안했다. 어르신 복지관의 인력 부족 문제를 지적하며, 복지관의 사회복지 인력을 최소 1명 이상 추가 충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 강철웅 도봉구의원

◆ 손혜영 의원, 주민 의견 반영되는 투명한 행정의 중요성 강조

손혜영 의원은 주민 의견 반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발바닥공원 온실 하우스 설치 문제와 관련해 주민 의견 수렴 없이 독단적으로 설치된 점을 비판하고 환경 체험에 부적합하다고 지적했다. 또, 중랑천 황톳길의 스테인리스 난간 설치도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진행돼 미관과 기능성에서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도봉구 축제 예산 전용 문제를 지적하고 외벽 도색 시 비산먼지 저감 설비와 방진막 설치 필요성을 제안했다. 구청사 광장 공사 문제에서는 예산 낭비와 공사 일정 문제, 구민의 안전 및 이익을 고려하지 않은 행정을 지적하며 보여주기식 행정의 중지를 요청했다.


▲ 손혜영 도봉구의원

 

◆ 이태용 의원, 우이방학경전철 및 동북권 시립도서관 사업 지연 문제 지적

이태용 의원은 우이방학경전철 착공 절차 지연과 관련해 서울시의 입찰 공고가 계획보다 늦어진 점과 국비와 시비 확보 문제로 착공 시점이 불투명한 상황에 대해 질문하며 턴키방식 착공 시점과 예산 미편성 이유를 물었다. 동북권 시립도서관의 2024년 예산이 미 편성된 점을 지적하며 사업 중단 이유와 서울시와의 의논 계획에 대해 궁금해했다.


도봉동 화학부대 이전 부지의 국기원 이전과 관련해 2023년 잠정 결정 후 진행 상황에 대해 공개된 정보가 없는 점을 지적하며 국기원 이전 진행 상황과 부지 활용 논의 현황에 대해 질문했다.


▲ 이태용 도봉구의원


◆ 박상근 의원, 신창초 재건축 필요성 및 통학로 안전 문제 강조

박상근 의원은 신창초등학교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추진 사업과 관련해 환경이 매우 열악해 재건축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신창초등학교 앞 덕릉로60길의 통학로 안전 문제도 언급하며, 교통표지판은 설치됐지만 인도와 안전펜스가 미비해 인도 확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초안산 힐링타운 조성 사례를 참고해 창3동 초안산 하늘꽃정원의 개선 필요성도 강조했다. 수유역 6번 출구의 마을버스 정류장 시설 부족 문제를 지적하며, 승차대, 의자, 전광판 등이 미비해 도봉구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면서 강북구와 협력해 정류장 시설을 신속히 개선할 것을 요청했다.


▲ 박상근 도봉구의원

포토뉴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