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bukbu3000@naver.com
수학 성적을 올리려면 먼저 아이의 두뇌유형을 알아야 합니다. 만약 자녀가 감성적이고 직관적인 우뇌 아이라면 도형을 활용하는 우뇌적 방법으로,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좌뇌 아이라면 대수를 활용하는 좌뇌적 방법으로 수학을 가르쳐야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공부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로 성적도 좋게 나오지 않습니다.
좌뇌 아이들은 순차적 사고를 잘하기 때문에 한 번에 하나씩 따져가면서 푸는 것을 잘합니다. 또 이 아이들은 구체적인 것보다는 추상화된 형태로 된 변수들 사이의 보이지 않는 관계나 구조를 찾는 것을 좋아합니다. 대부분의 수학 교과서와 참고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씌어 있습니다. 그래서 좌뇌 아이가 수학에 더 두각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반면에 우뇌가 발달한 아이들은 법칙이나 공식을 보는 순간 그냥 외워버리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순서대로 하나씩 따지는 것을 무척 힘들어하고 귀찮아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그렇게 해서 외웠다 하더라도 나중에 상당히 헷갈려합니다. 그 숫자가 그 숫자 같기도 하고 또 비슷해서 머릿속에 명백히 차별화되어 기억되지 않습니다. 또 더하기인지 빼기인지 부호도 혼동됩니다. 게다가 순차적 사고가 약해서 식을 전개하면서 항상 실수를 하게 됩니다. 수학 시험에서 잔실수가 많은 것도 바로 그 이유 때문입니다.
우뇌 아이들이 공식을 그냥 외우는 데는 또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공식을 공부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좌뇌 아이가 무엇이든지 논리적으로 납득이 가야 받아들이듯이 우뇌 아이는 그것이 왜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느낄 수 있어야 받아들입니다. 그런데 수학 공식은 추상적인 숫자와 연산기호로 되어 있기 때문에 느낄 수가 없습니다. 또 우뇌 아이는 천성적으로 반복을 싫어하는데 그것도 비슷한 숫자와 문자로 되어 있는 동일한 유형의 문제를 계속 풀어야 하는 것이 여간 곤혹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다 보니 어릴 때부터 수학을 싫어하게 됩니다.
이처럼 우뇌 아이들은 순차적 사고가 필요한 대수에는 상당히 약하지만 도형은 아주 잘합니다. 절대 틀리는 법이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도형은 동시적 사고로 풀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우뇌 아이들은 동시적 사고가 강하기 때문에 전체를 보고 한눈에 척 답을 구하는 도형을 잘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우뇌 아이한테는 순차적인 좌뇌 수학을 가르치기보다는, 수학을 전부 자신들이 잘하는 도형 문제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도형이나 다이어그램, 그림으로 바꿔주면 추상적인 숫자와 문자로 되어 있는 대수식이 구체적인 것으로 전환되어 아이가 잘 느낄 수 있게 됩니다. 그러면 아이들은 쉽게 이해하고, 수학에 재미를 붙입니다. 따라서 우뇌 아이들에게는 우뇌 성향에 맞는 우뇌 수학을 가르쳐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