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감염병 매개 진드기 물렸다면 꼭 검사받으세요” 보건환경연구원, 발열·구토 등 유발가능성 주의 당부 2024-05-21
편집국 bukbu3000@naver.com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본격적인 나들이 철을 맞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 미래한강본부·공원여가센터 등과 합동으로 한강공원, 생태공원을 비롯해 시민들이 자주 찾는 산책로 등 진드기 서식 예상지점을 대상으로 감시 사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참진드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매개하는 절지동물로 사람과 반려동물 등에 발열과 함께 혈소판, 백혈구 감소와 구토 및 설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 백신과 치료제도 없을뿐더러 치명률도 18.7%에 달해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하지만, 연구원은 “모든 참진드기가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지금까지 서울지역에서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진드기가 발견된 사례는 없었다”면서, “그러나 야외활동 중이나 반려동물에 붙어 있는 진드기를 통해 감염되는 사례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참진드기는 사람을 물 수 있는 약충과 성충까지도 깨알만한 크기로, 야외활동 후 옷이나 신발에 진드기가 붙어 있어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반려견의 경우 산책할 때 진드기 서식지인 수풀을 지나가는 경우가 많아 산책 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에서는 작은소피참진드기가 주요 매개 종으로 4~10월에 주로 활동하며, 흡혈 후엔 2cm까지 커지기도 하지만 그 전의 크기는 1~9mm 정도다.


연구원은 교상진드기(사람이나 동물을 문 진드기)에 대해 참진드기의 종류와 SFTS 바이러스 보유 여부를 판별하고 있으므로, 진드기에게 물렸을 때는 진드기를 버리지 말고 핀셋을 사용해 조심스럽게 떼어내고, 보건소(반려동물은 가축방역부서)에 의뢰해 검사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