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할머니, 할아버지 어린 시절 사진으로 만나세요” 서울역사박물관, 가정의 달 이야기 <동심>展 개최 2024-04-30
편집국 bukbu3000@naver.com



▲ <동심>展에 전시되는 파고다공원에서 아이들(1954년, 임인식 촬영)과 영등포 행사를 기다리는 소녀(1965년, 홍순태 촬영)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최병구)은 오는 6월 30일(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동심> 전시를 개최한다.

가정의 달을 맞아 임인식, 정범태, 한영수, 홍순태, 황헌만 사진작가 5인의 서울사진 중 아이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 100여 점을 선별·전시한다. 


이번 전시에는 지금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의 어릴 적 모습이라 할 수 있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어린이 사진이 소개된다.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모습과 자연과 벗 삼아 친구들과 즐겼던 공기놀이, 말타기, 썰매타기 등 그 시절 다양한 놀이문화를 살펴볼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임인식, 정범태, 한영수, 홍순태, 황헌만 사진작가의 눈에 비친 아이들의 모습과 그 속에 담긴 작품 세계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평북 정주에서 태어난 임인식 작가(1920-1998)는 용산 삼각지 부근에서 ‘한미 사진 카메라’점을 운영하면서 본격적으로 서울의 도시 모습들을 촬영하기 시작했다. 이번 전시에는 작가가 살았던 가회동 집 주변 골목길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모습을 담은 사진이 다수 소개된다. 작가의 시선으로 담담히 담아놓은 아이들의 모습은 도시개발과 함께 사라진 옛 골목길을 추억할 수 있다.


정범태 작가(1928-2019)는 조선일보 사진기자가 된 이후 지속적인 사진 작업을 진행했고 오랜 사진기자 생활을 통해 진한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한 리얼리즘 사진을 발표해 온 작가로 알려져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빼어난 구도와 강렬한 흑백의 대조를 통해 어린아이와 생명력, 죽음 등의 대립적인 측면을 충돌시킨 대표적인 사진 작품이 전시된다. 또 어렵고 힘든 삶을 살아가는 당시 아이들의 현실을 가감 없이 기록한 사진도 소개한다.


개성에서 태어나 유복한 어린 시절을 보낸 한영수 작가(1933-1999)는 세련된 미적 구도로 모던한 도시의 모습을 포착하는데 탁월한 감각을 가졌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어린 소녀를 주제로 한 작품이 소개된다. 도시 속의 어린 소녀들을 통해 도시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어린 소녀들의 모종의 꿈이 표현된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서울 중구 중림동에서 태어나고 자란 서울 토박이 홍순태 작가(1934-2016)는 1983년 이산가족 찾기 운동, 1986년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공식 사진작가로 활동했다. 그는 당시 소외됐던 판자촌을 찾아 서민들의 삶을 기록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흥인지문 밖 창신동과 그 주변에 사는 가난하고 어려운 삶을 살아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작가만의 시각으로 바라본 사실적인 사진들을 전시한다. 


서울에서 태어난 황헌만 작가(1948-2022)는 서라벌예술대학 사진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 출판부 사진기자와 어깨동무 등의 아동지 기자 및 사진부장을 역임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난지도, 천호동 등 서울 외곽에서 작가가 포착한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골목길에서 놀고 있거나 앉아 있는 아이들 사진은 매일 보지만 아무렇지도 않게 지나가는 일상을 따듯하게 바라보았던 작가의 시선을 느낄 수 있다. 


또 가정의 달을 맞아 전시를 찾은 관람객들이 가족과 함께 동심을 나눌 수 있도록 작가 5인의 대표 작품으로 엽서 10종을 제작했다. 관람객들이 엽서를 적어 전시장 내에 비치된 우체통에 넣으면 무료로 발송해 주는 ‘엽서 보내기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학예사와 함께하는 전시해설’ 프로그램도 준비돼 있다.


전시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관람 시간은 평일 및 주말 모두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단, 매주 금요일은 오후 9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공휴일을 제외한 월요일은 휴관이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역사박물관 누리집(museum.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람문의: 02-724-0274~6)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