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bukbu3000@naver.com

다가오는 4월 13일은 지금으로부터 98년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암흑과도 같았던 일제 강점기, 1919년 3월 1일에 우리 민족지도자들은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이 자주민임을 천명하였고, 모든 국민들은 방방곡곡에서 목이 터져라 독립만세를 외쳤다.
3.1운동으로 우리 국민의 독립에 대한 열망을 확인한 독립운동가들은 일치 단결해 대한민국의 독립을 추진할 우리의 정부를 세우기 위해 국내외에 산개해 있던 여러 단체들을 통합, 결집시켰다. 그리고 마침내 그들은 4월 13일 중국 상하이에서 역사적인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 선포하기에 이른다.
이때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 국민을 대표하는 정부조직으로서 활발한 외교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각종 교육, 문화 활동 통해 독립의식을 고취시키고 광복군 창설 등 무장 독립 투쟁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정부의 형태를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국민이 주인이 되고 의회가 중심이 되는 민주공화제 정부로 정해 오늘의 대한민국이라는 큰 나무의 씨앗이 되었다.
그러나 그 존재만큼이나 일제의 탄압은 집요했고 가혹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에 굴하지 않고 광복이 되기 전까지 무려 27년이라는 긴시간을 견디며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갔다. 이는 식민지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운 집념이었다.
수십년의 타지생활과 일경의 감시를 피해야 하는 고된 삶 속에서도 애국지사들의 독립에 대한 염원은 늘 한결같았다. 이를 대표적으로 천명하는 내용이 김구선생님의 말씀에 나타난다. “나의 소원은 첫째도 독립이요, 둘째도 독립이요, 셋째도 우리나라의 완전한 자주독립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광복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구성과 정책은 그대로 대한민국 정부에 반영되지 못했다. 그리고 우리는 아직도 만주나 연해주의 이름 모를 산야에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분들이 몇 분이나 잠들어 계신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우리에게는 그분들의 역사를 기억하고 계승해야 할 의무가 있다.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본받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우리나라를 사랑하는 것. 그리고 하루 하루를 대한민국과 자신의 행복한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것. 아마도 그것이 그분들의 헌신을 기억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일 것이다.
다가오는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 우리에게 ‘내일’이라는 밝은 단어를 선물한 순국선열들을 기억하고 그분들이 마음속에 그렸던 대한민국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