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에어컨 등 냉방용품 소비자 피해 주의하세요” 설치비 과다 청구·부실 설치 따른 누수 등 하자 많아 2023-07-11
편집국 bukbu3000@naver.com

본격적인 여름을 앞두고 에어컨 등 냉방기기를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설치비 과다 요구, 하자수리 거부 등 관련 피해 증가 가능성이 높아지자 서울시가 7월 한 달간 ‘냉방기기 소비자피해주의보’를 발효했다. 


시는 지난 4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57만여 건의 피해상담 빅데이터를 분석, 특정 시기나 월에 동일하게 증가하는 피해 품목과 유형을 소비자들에게 미리 알려 피해를 예방하는 ‘소비자피해 품목·유형 예보제’를 실시 중이다. 7월 예보품목은 ‘에어컨 등 냉방기기’다. 


실제로 최근 4년(’19년~’22년)간 소비자원에 접수된 여름 냉방기기 관련 상담은 총 4,838건이고 이 중 설치 관련이 1,662건(34%)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하자처리 불만이 1,255건(26%)이었다. 


피해 내용은 부실 설치에 따른 누수, 설치비 과다 청구, 현장에서 설치비 추가 요구, 하자에 대한 배상 거부 등이었다. 


보통 여름 냉방기기는 대기업인 제조사가 직접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계약을 체결한 별도 용역 업체나 소비자가 직접 지역 내 점포에 설치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아 하자 발생 시에도 피해보상을 받기가 어렵거나 시일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서울시는 냉방기기는 수요가 집중하는 7~8월 이전 사전구매 및 설치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구입 시 설치비 포함 여부 등 계약조건을 꼼꼼하게 따지고 설치 시에는 설치기사와 장소, 방법, 비용 등을 충분히 협의 후 설치기사가 떠나기 전 정상 가동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피해 발생을 대비해 주문내역, 결제내역, 설치비 영수증 등 거래관련 증빙서류는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중고품 구입 시에도 반드시 품질보증기간이 명시된 보증서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에어컨 등 냉방기기 관련 피해는 1372 소비자상담센터(한국소비자원)로 문의하거나 온라인 이용의 경우는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ecc.seoul.go.kr, ☎2133-4891~6)에 상담 신청하면 대응 방법을 자세하게 안내받을 수 있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