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야생멧돼지 마주쳤을 때 상황별 행동요령 알아두세요” 강북, 도봉, 성북, 종로, 은평구 주변서 포획건수 70% 이상 2023-01-04
편집국 bukbu3000@naver.com

서울시는 최근 야생멧돼지 도심출몰 사고가 잇달아 발생함에 따라 ‘야생멧돼지와 마주칠 경우에 대한 행동요령’을 제작해 서울의공원(http://parks.seoul.go.kr)과 서울시 공식블로그(https://blog.naver.com/haechiseoul/222946942822)에 게시하고 홍보물(리플릿)을 야생멧돼지 출몰 지역에 배포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말까지 서울시 도심주변 야생멧돼지 포획건수는 총 155건으로 2021년도 대비 70% 이상 크게 증가한 만큼 도심 내에서 일반 시민이 야생멧돼지와 마주칠 때를 대비한 행동요령 숙지가 필요하다.


포획 지역별로는 북한산국립공원 및 인접한 지역에서 야생멧돼지 포획건수가 총 109건으로 전체 대비 70% 이상을 차지하므로 강북, 도봉, 성북, 종로, 은평구 거주 주민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해 7월 서울시는 북한산국립공원 관리부처인 환경부에 야생멧돼지 포획활동 강화를 건의했고, 자체적으로 야생멧돼지 도심 내 진입을 막기 위해 산악지역 일대에 차단울타리(13km)와 포획틀(104개)을 설치하고 자치구별 특별 멧돼지기동포획단을 운영해 야생멧돼지 포획을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확산 예방을 위해 포획한 야생멧돼지 개체에 대해 전수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특히, 겨울철 번식기는 수컷 멧돼지의 활동성이 증가하는 시기로 도심까지 출현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야생멧돼지와 마주쳤을 경우는 △침착하게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야생멧돼지의 움직임을 지켜보고 △가까운 나무 등 은폐물 뒤로 몸을 피하며 △공격위험이 감지되면 높은 곳으로 이동하거나 가방 등 갖고 있는 물건으로 몸을 보호할 것을 당부했다.


상황별로는 △등산객이라면 정해진 등산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운전자의 경우 ‘야생동물 출현 안내판’이나 내비게이션의 ‘로드킬(동물 찻길 사고) 안내’ 등에 유의해 주의 운전을 하도록 하고 △보행자의 경우 야생멧돼지를 마주치면 가까운 시설물 뒤나 높은 곳으로 대피 후 112, 119로 신속히 신고할 것 등을 추가 당부했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