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bukbu3000@naver.com
▲ 서울시 자치경찰위원들이 공유킥보드를 살펴보며 안전 관리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김학배)는 강남경찰서 회의실에서 최근 이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개인형 이동장치(PM)의 교통사고 예방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판단해 안전 확보를 위한 회의를 개최했다.
강남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에서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13개 개인형이동장치 공유업체 중 가장 많은 9개 업체가 있다.
최근 코로나19 관련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유흥가 등지에서 대중교통이 부족한 심야시간 귀가인원이 많아지면서 개인형 이동장치의 이용량뿐만 아니라 음주운전, 보호장비 미착용 등 교통법규 미준수 이용자 수도 대폭 증가해 사고 예방 대책 필요성이 대두됐다.
서울시 공유 PM의 이용량은 올해 2월 119만건, 3월 142만건, 4월 186만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서울경찰청 자료에 의하면 개인형이동장치 음주운전 단속건수는 거리두기 해제일(4.18.) 전후 1개월간을 비교한 결과 각각 49건 → 93건으로 89.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찰청은 작년 5월 13일 개정된 도로교통법(주요내용 : 개인형 이동장치 운전자 주의의무 강화)의 인지도 대비 준수율이 저조한 현실에 맞춰 5월 30일부터 7월 31일까지 2개월간 개인형 이동장치를 포함한 이륜차, 자전거 등 두 바퀴 차의 주요 위반행위에 대한 집중단속과 교육·홍보를 병행 중이다.
자치경찰위원회는 교통 법규 준수 여부는 시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대 시민 경각심 제고를 위해 안전 장비 의무착용 등 개인형 이동장치 교통법규 준수를 위한 단속 및 교육·홍보를 촉구했다. 또 우수 단속 및 개선 사례를 인접 경찰서 및 지방자치단체 등과 적극적으로 공유할 것을 당부하고 위원회 차원에서도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
또, 실제 이용자가 준수할 수 있는 안전대책 활성화 방안으로 발광형 안전모 및 손잡이 보급을 통한 야간 시인성 강화와 1회용 안전모 내피 보급을 통한 보호 장비 착용 활성화 등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