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bukbu3000@naver.com
개개인의 돌봄 욕구에 부응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원스톱 제공하는 ‘돌봄SOS센터’가 코로나19 시대 돌봄 공백 해소에 톡톡한 역할은 한 것은 물론 지역 일자리 창출까지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복지재단이 지원하는 ‘돌봄SOS센터’는 2019년부터 도시락 제조·배달 업체, 장기요양기관, 방역업체 등의 기관들과 협약을 맺고 긴급 돌봄이 필요한 50세 이상 중장년, 어르신, 장애인 등에게 일시재가, 주거편의(청소·세탁 등), 식사 지원 등 전문적인 10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올해 1월부터는 425개 모든 동에 전담인력을 배치해 긴급 돌봄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작년 한 해 동안 ‘돌봄SOS센터’를 통해 3만 3,156명의 시민이 서비스를 받았다. 전년('20년 1만 4,026명)보다 2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특히 도시락을 제공하는 ‘식사지원’ 서비스 수요가 가장 많았다. 이용 건수는 2020년 1만 632건에서 2021년 2만 6,058건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제공한 총 식사 건수는 70만 6,333건이었다.('20년 29만 2,080건)
뒤를 이어 수요가 많았던 ‘일시재가’ 서비스는 이용 건수가 2020년 5,284건에서 2021년 1만 2,900건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주거편의’ 서비스는 이용 건수가 2020년 1,751건에서 2021년 8,552건으로 약 5배 급증했다. 기존에 형광등 교체 등 소규모 수리, 청소·방역 분야를 서비스한 데 이어, 작년 8월부터 세탁지원까지 편의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이용량도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병원 등에 함께 가는 ‘동행지원’ 서비스 이용 건수도 2020년 928건에서 2021년 5,473건으로 약 6배 급증했다.
‘돌봄SOS센터’는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어했다. 돌봄SOS센터와 협약을 맺고 작년 한 해 서비스를 제공한 462개 기관이 지난해 평균 4명 이상의 직원을 신규 채용했다. 이중 30.5%인 141개 기관은 5명 이상을 신규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서울시복지재단이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1월 11~16일 6일간 실시했다. ‘돌봄SOS센터’와 협약한 전체 서비스 제공기관(협약기관) 750개소 중 574개소(응답률 76.5%)와 ‘돌봄SOS센터’와 협약을 맺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서비스를 제공 중인 기관(비협약기관) 371개소가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