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노원구, 건축물 안전 점검에 드론 활용 노후 건축물, 공사장, 첨탑, 급경사지 등 점검 2021-11-02
편집국 bukbu3000@naver.com


▲ 노원구 공무원이 드론을 활용해 교회 첨탑 안전을 확인하고 있다.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건축물 안전점검에 드론과 AI 기술 등을 접목한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구축에 나선다.


국토교통부의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에 따라 빅 데이터, IoT, 드론 등 첨단기술을 적용하는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에 노원구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노원구의 스마트 안전점검은 우선 급경사지, 건축 공사장, 첨탑과 같이 점검자가 접근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시설물부터 적용한다. 특히 해빙기나 우기에는 낙석 또는 붕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큰 옹벽, 담장, 급경사지 등에 대한 사전 점검에 활용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점검할 때에는 일부 누락되는 지점이 발생하지만, 드론이 사각지대 없이 현장을 촬영하고, 촬영된 수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체적 3D 모형이 만들어지면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인 점검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사람이 할 때 약 72시간 정도 소요되던 점검시간도 드론을 활용하면 27시간 만에 마칠 수 있게 돼 현장의 인력 부족과 업무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드론이 비행해 촬영한 영상은 3D수치 모델링이라는 과정을 거쳐 입체적 관찰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를 활용하면 점검대상 모델의 시점 변경, 확대 및 축소, 거리와 면적 등 세부수치 확인, 세밀 관측 등을 할 수 있다. 또 3D 모델링 자료를 축적해 시계열 관리하고 빅데이터를 구축하게 되면 최종적으로는 AI 기술을 통한 자율점검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구는 시범적으로 지난 8월, 드론을 활용해 육안점검이 어려운 종교시설 첨탑 3곳의 안전점검을 직접 시행했으며, 9월에는 사전 위험요소 제거를 위해 추적 관찰이 필요한 상계동 급경사지에 대한 드론 점검을 실시하고 3D수치 모델링 및 시계열 관리 중에 있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은 타 지자체의 드론 점검과는 달리 민간전문가 용역이 아닌 구 공무원이 직접 드론을 조종해 점검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노원구 건축과 직원 중 드론 조종 자격자를 보유한 직원은 교관자격 1명을 포함해 모두 9명이다.


또 구는 자체 드론비행 및 안전점검 인력 양성을 위한 학습동아리 운영으로 직원 역량을 강화하고, 타 지자체 벤치마킹 등 드론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드론 등 신기술을 활용해 안전점검의 실효성을 높이고, 취약시설의 위험요소를 적극적으로 제거해 소중한 구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