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bukbu3000@naver.com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장애인 친화도시를 만들기 위해 구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노원구는 2020년 기준 등록장애인 수가 2만 7000여 명에 달해 서울시 자치구 중 두 번째로 장애인 인구가 많다.
구는 올해 예산 75억 9000만 원을 투입해 △다양한 욕구에 대응한 맞춤형 지원 △장애인 이동권 보장 강화 △장애 인식 개선 등 3개 분야 총 41개 세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2018년 11월부터 3개월간 장애인 욕구와 실생활 애로사항을 꼼꼼하게 파악하기 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하며 다양한 정책과제를 발굴하기 시작했다. 이후 종합적인 계획수립과 체계적인 사업관리를 위해 장애인복지과 내 ‘장애인친화도시팀’을 신설하고, 전문가가 참여하는 ‘장애인 친화도시 조성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핵심 사업으로 전국 지자체 최초의 장애인 일자리 전담기관인 ‘노원구 장애인 일자리지원센터’가 대표적이다. 구가 직접 운영하는 센터는 장애인의 유형에 따른 맞춤형 일자리를 연계하고,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해 일자리와 관련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기관 역할을 하고 있다.
1월 개관 이래 현재까지 장애인 공공일자리에 117명 채용을 확정했으며 영화관, 학교와 병원에 취업 연계 및 사후지도를 진행 중이다. 올해 10월에는 유관기관과 민간업체가 참여하는 채용박람회를 개최해 생산적인 일자리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사업도 관내 전 지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장애인 보행환경 현황을 면밀히 조사하고 안전 유도블록 설치 등 지속적인 정비를 추진한다.
특히, 장애인들의 방문이 잦은 복지관, 이동권 보장에 핵심이 되는 지하철 역사 주변, 문화시설 주변 보도를 집중적으로 개선하며 그 효과를 높이고 있다. 또 올해는 편의점, 카페, 약국 등 생활밀착형 소규모 시설에 휠체어 이용 장애인도 편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맞춤형 경사로 설치비 전액을 지원한다.
비장애인의 인식 개선을 위한 사업도 벌이고 있다. 장애인 복지시설에 차별적 요소가 포함되지 않도록 명칭변경을 독려하는 것도 그 일환이다. 장애인과 가장 밀접한 복지시설에서의 인권침해를 예방하기 위해 시설 종사자에 대한 인권교육은 물론 종사자와의 간담회를 통한 처우개선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시설종사자를 직접 만나 의견을 듣고 전문기관 자문을 통해 ‘인권침해예방 대응매뉴얼’이 제작되는 성과도 얻었다. 지난 5월에는 구청 공무원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해 영화 ‘학교 가는 길’을 단체 관람하며 장애감수성을 함양하고 의식을 제고하는 기회를 갖기도 했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장애인과 장애가족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아는 것이 문제 해결의 시작”이라면서, “앞으로 모든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장애인과 그 가족이 소외되지 않도록 꼼꼼히 살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