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노원구 백사마을 노후 주거단지 개발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단지로 디자인 2021-03-09
편집국 bukbu3000@naver.com


▲ 노원구 중계본동 백사마을 조감도


1960년대 후반 형성된 서울의 대표적 노후 주거지역인 노원구(구청장 오승록) 중계본동 104번지 일대 백사마을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명품 주거단지로 재개발된다.


노원구는 지난 2일 2009년 주택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18만 6,965㎡ 면적의 백사마을 재개발 예정지에 대해 사업 시행계획을 인가했다.


총 2,437세대의 아파트와 일반주택을 건립하는 이번 사업은 다양한 층수의 아파트와 일반주택을 적절히 혼합 배치해 자연 경관을 살리고, 골목길 등 기존 지형을 일부 보전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도록 디자인 됐다.


또 60여년 된 지역 역사 보전을 위해 전시관을 건립해 각종 생활 물품과 자료, 행사나 잔치, 인물 사진 등을 수집해 예전 동네 모습이나 마을 주민들의 애환 어린 삶의 기억을 보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마을식당과 공방 등 다양한 주민들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공동 이용시설을 배치해 자연스럽게 마을공동체 활성화도 유도한다.


주거 단지 조성은 아파트와 일반주택으로 이뤄진다. 먼저 아파트는 지하 5층부터 지상 20층까지 각기 다른 층수로 34개동 1953세대가 들어선다. 전용 면적도 59~190㎡까지 다양하다.


일반주택은 주거지 보전사업으로 골목길 등을 살리는 방식으로 지하 4층부터 지상 4층의 다세대 주택 136개동 484세대가 들어선다. 전용면적은 30~85㎡ 미만으로 선택의 폭을 넓혔다.


앞으로 올해 하반기 시공사를 선정하고 2022년 관리처분 계획인가 후 착공에 들어가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백사마을은 안전사고 사전 방지를 위해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위험 건축물 거주자 중 이주희망자에 대해 이주를 지원해 현재 전체 597가구 중 394가구(약 66%)가 이주를 완료한 상태다.
또 조기 이주로 인한 구역 내 공가 증가에 따른 범죄, 화재, 건축물 붕괴 등 사고예방을 위해 주민 중심의 순찰조를 편성해 노원경찰서와 공동으로 순찰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재개발 사업은 서울시와 노원구의 협력의 결과다. 1971년 개발 제한구역으로 지정된 백사마을은 지난 2008년 도시미관 개선을 위해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면서 이듬해 주택 재개발 구역으로 결정됐지만, 2017년 사업시행자가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공사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건축방식과 내부갈등 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는 등 우여곡절이 많았다.


갈등해결을 위해 갈등전문가를 현장에 파견하고, 평균 층수 상향 등의 지역 주민 요구 사항과 지역 특성에 가장 적합한 정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총 33회에 걸친 회의와 심의 등 모든 행정력을 동원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주민들 사이에서 논란이 많았던 아파트 평균 층수 12층 이하, 최고 층수 20층 이하로 의견을 모으는 등 주민 갈등이 해소돼 2019년 5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할 수 있었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라는 열악한 주거환경이 자연과 어우러진 명품 단지로 바뀔 수 있게 된 것은 지역주민 등 모든 분들의 협력의 산물”이라면서,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새로운 방식의 사업이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꼼꼼히 살펴 나가겠다”고 말했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