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강북·도봉구 지나는 버스노선 어떤 게 달라지나 108, 153, 150, 1128, 1126번 노선 조정 2021-03-02
편집국 bukbu3000@naver.com


▲ 도봉역, 수유역을 경유하던 108번은 노선이 폐지된다.


▲ 우이동을 출발한 153번 종점이 롯데백화점에서 대방역(지상구간)으로 단축된다.


▲ 150번 종점이 시흥대교에서 신길뉴타운으로 단축된다.


▲ 1128번은 종암사거리에서 서울사대부고로 노선이 연장된다.


서울시는 신규 택지개발지역, 개정된 법제도, 지하철 연계 등 교통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시내버스 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시민단체, 시의원, 교통 전문가, 운수업계 대표, 직능단체(변호사·노무사 등) 전무가 등으로 구성된 버스정책시민위원회(노선조정분과위원회) 심의를 거쳐 19개 시내버스 노선의 조정안을 확정했다. 19개 노선 조정안은 3월부터 순차적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19개 변경 노선 중 강북구민과 도봉구민이 알아두면 좋은 사항을 살펴봤다.


◆ 장거리노선 단축 운행 안전성 강화


장거리를 운행하는 6개(108·150·153·362·3412·2311번)노선이 단축된다. 장거리 노선은 주요 권역 간을 환승 없이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해당 노선 운수종사자는 약 4시간 이상 쉴 틈 없이 운전을 해야 한다.


차량 정체 시에는 5시간 가깝게 운행하는 경우도 있어 운전자의 용변권 확보 난항, 피로누적·스트레스 등 운전근로자의 인권 및 근로여건 개선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또 코로나19 여파로 수요 변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불요불급한 경우 노선 통·폐합 등 운영효율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고려했다.


장거리노선 중 대체노선 존재여부 및 승·하차 이용 특성을 분석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 하는 범위 내에서 노선을 단축했다.


108번은 서울시 시내버스임에도 불구하고 경기도 양주(덕정리)에서 종로5가까지 88.4km(260~280분)를 운행하는 노선으로서, 동 노선은 폐선하고 노원역에서 고려대역, 신설동역, 종로5가 구간의 이동편의 개선을 위해 노선을 신설하는 방향으로 결정됐다. 현재 폐선되는 양주·의정부 구간의 대체노선 마련에 대해 경기도와 협의 중이며, 서울시와 경기도의 동 시간 노선변경을 통해 이동불편을 최소화해 올해 4월 이내 시행할 계획이다.


153번은 우이동~관악 롯데백화점까지 66.6㎞를 운행하던 노선인데, 우이동~대방역까지 운행토록 10.0㎞ 단축된다. 운행시간을 30분 단축(260분→230분)해 운전자 근로여건이 크게 개선된다. 단축된 여의도 구간은 461번, 6513번으로 대체 이동이 가능하며, 강북 방면으로는 여의도 구간에서 기존 153번으로 환승 이용이 가능하다.


150번은 도봉산환승센터에서 시흥대교까지 74.8km를(운행시간 270분) 운행하던 노선인데, 13.8km를 단축해 동작구 신길뉴타운 지역으로 변경된다. 


◆ 승객 과소, 교통사각지역, 불합리 구간 정비


이용 승객 과소, 교통사각지역 내 이동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기존 굴곡진 운행구간 직선화 등 불합리한 운행경로를 개선해 이용 시민의 서비스 개선과 운행 효율성을 높이다.


1128번은 교통사각지역인 서울사대부고에서 길음역까지 연계되도록 노선 조정된다. 노선조정으로 서울사대부고의 통학편의와 지하철역 연계로 대중교통서비스가 향상된다.


1226번은 한국과학기술원입구 등에서 상월곡 접근성 개선을 위해 노선을 연장하고 버스베이를 설치해 운행 효율성을 개선한다.


노선별 조정 시행일자는 결정되는 즉시 인터넷 홈페이지 공고(bus.seoul.go.kr), 어플리케이션(서울대중교통), 차량 내부 및 경유 정류소 안내문 부착, 차량 외부 현수막 부착 등의 방식으로 적극 알릴 예정이다. 또 120 다산콜센터 및 서울시버스운송조합 운영관리부(☎02-415-4103) 등을 통해 안내 받을 수 있다.

포토뉴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