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bukbu3000@naver.com

지난 2018년부터 전국 기초지자체 중 최초로 아동보호전문기관을 직영한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아동 권리 보호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노원구의 아동 보호 정책은 크게 두 갈래로 진행하고 있다. 먼저 피해 아동과 학대 행위자에 대한 전문가의 심리치료와 교육이 이뤄지는 ‘전문 아동 보호기관’ 운영과 치료 후 가정으로 돌아가기 전 학대 재발이 우려되는 아이가 일정기간 거주하며 쉴 수 있는 ‘아동쉼터’ 운영이다.
‘아동보호 전문기관’은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최초의 직영 사례로 아동학대와 관련한 상시적이고 밀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보호기관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운영하기 시작했다.
중계동 노원아동복지관 3층(노원로331)에 마련한 시설은 130㎡ 규모에 검사실, 치료실, 상담실, 회의실 등을 갖추고 있다. 18세 미만의 학대피해 아동 및 가족, 학대 행위자를 대상으로 상담 및 교육, 의료·심리 치료 등을 지원한다. 또 24시간 아동학대 신고 접수를 통해 현장조사 및 사례조치, 사후관리 등 신속하고 전문적인 아동보호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아동학대조사는 4명의 공무원이 직접 실시하고 사례관리, 심리치료는 전문 분야는 민간 인력이 담당하고 있다.
구는 2019년부터 ‘학대피해 아동쉼터’도 운영하고 있다. 아동쉼터는 재발 위험이 높은 피해아동을 원 가정으로부터 분리해 보호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아동이 거주하며 생활하는 곳이다.
피해아동들이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아파트를 매입하고 학대피해 아동들이 편하게 쉴 수 있도록 리모델링했다. 113㎡ 규모의 쉼터는 현재 여아전용으로 3명의 아동이 입소해 생활하고 있다. 보육사 3명이 상주해 아동들을 돌보고 전문적인 심리 상담·치료를 위한 심리치료사도 근무하고 있다.
쉼터는 기본적인 의식주 제공뿐 아니라 심리검사, 개별상담, 집단상담 등 전문적 심리치료를 제공한다. 모래놀이, 집단놀이 등의 심리치료를 통해 마음의 상처를 치료하고 학대를 경험하면서 생긴 공격성, 거짓말, 욕설과 같은 부적절한 행동습관을 고쳐 퇴소 후 재 학대 발생을 방지한다. 그 외에도 기초학습보완 및 학습능력증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독서 및 공연·문화 활동, 봉사활동 등을 통해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도 힘쓰고 있다.
현재 서울에는 노원구를 포함 총 4곳의 ‘학대피해 아동쉼터’가 운영 중이다. 서울시가 관악, 동대문, 중랑구에 쉼터를 운영 중이며 구립은 노원구가 유일하다.
또 전국 최초로 ‘노원구 아동보호구역 운영 조례’를 제정해 아동대상 범죄 예방 등 안전권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노원경찰서와 협약을 체결해 초등학교 등 44곳을 아동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학교벽면에 표지판 설치, 아동보호인력배치, CCTV설치 및 성능 개선 등 아동에게 안전한 환경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장기적인 아동 대책 마련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실시할 계획”이라면서, "학대아동에 대한 이웃들이 적극적인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