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노원구, 노원형 청년정책 추진 일자리 발굴 등 5대 핵심전략 마련 2020-05-13
편집국 bukbu3000@naver.com


▲노원구가 노원형 청년정책을 추진한다. 노원청년정책 위원회 회의 모습.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청년들이 지역에서 일하고 활동할 수 있는 토양 마련을 위한「노원형 청년정책」을 추진한다.


청년 정책의 5대 핵심전략은 ‘일자리 발굴’과 ‘5대 안전망 구축’, ‘청년 활동 생태계 기반 마련’과 ‘청년 유입’, ‘청년 정책 추진체계 구축 및 안정화’로 짜여졌다.


각 전략별 세부 추진 내용을 살펴보면 △청년 일자리 발굴을 위해 ‘노원 청년 일자리 T/F팀’을 운영한다. 단기 일자리가 아닌 청년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지역 주도형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서다.


대표적인 사업이 ‘일자리 인큐베이팅’이다. 내용은 청년 고용을 확대할 기업을 찾아내 취업이 절실한 구직 청년에게 사전에 구인 희망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그 기업에 취직 희망자를 사전 교육 시키는 사업이다. 참여 기업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청년 5대 사회 안전망 구축은 심리적 곤란부터 주거에 이르기까지 사회에서 소외됨 없는 포괄적인 사회 안전망 마련을 추구한다. 특히 청년들이 도심으로 집중되는 이유를 지역 내 교육적 지원 부족이라 보고, 청년들이 지역에서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구의 평생 학습 교육 인프라를 공유한다.


△청년들의 잠재력 발휘를 위한 생태계 기반도 마련한다. 활발한 활동의지를 가진 청년들이 지역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다. 권역별 청년 공간 설치 등 ‘청년 공간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와 청년 참여예산을 통한 공모 사업을 진행한다.


△청년을 노원으로 모이게 하는 전략도 추진한다. 노원구는 서울에서 5번째로 청년인구가 많다. 서울에서 가장 많은 7개의 대학으로 통학을 위해 유입되는 20대 초반의 청년들이 많다. 노원구를 ‘거주’만이 아닌 ‘생활’의 근거지로서, 일하고 활동하는 거점으로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청년 문화의 거리 조성’과 주거 공간 제공을 위한 ‘노원청년기숙사 설립’, 지역 내 대학과 연계한 ‘캠퍼스타운 연계 대학 활성화 사업’ 등 5개 사업이다.


마지막으로 △동반자로서의 민관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행정서비스 전달만으로는 근본적인 청년 문제 해결이 안 되기 때문이다. 민관이 협력해 서로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책 점검 이행 체계’를 마련한다. ‘노원구 청년정책 위원회’도 운영한다. 


이번 노원형 청년정책 기본 계획은 지난해 사단법인 청소년과 나란히에 의뢰한 연구용역에 따른 것이다. 아울러 노원에 거주하거나 활동하는 15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 250명을 대상으로 대면조사와 인터넷 설문도 진행했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지방분권화 시대인데 아직 청년정책은 중앙과 광역의 전달자 역할에 머물고 있다”며, “노원형 청년정책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청년정책의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역량을 배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